1. 수면무호흡증 원인과 특징
수면무호흡증(SAS: Sleep Apnea Syndrome)은 수면 중 호흡이 멈춤(무호흡), 또는 약해져(저호흡) 일상생활에 다양한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은 수면 중 코골이, 기상 시 두통, 낮에 강한 졸음이 나타나 업무의 효과 비율이 떨어지는 등 수면의 질 저하에 의한 것입니다.
또 졸음운전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률을 높이기 때문에 사회적 영향도 큽니다. 게다가 다양한 성인병 위험을 상승시키고 신체적으로 영향도 큽니다.
환자의 약 30~40%는 비만 정도가 낮아도 소악증 등 안면의 형태적인 문제로 발병하기도 합니다.
원인은 노화에 따른 근력 저하, 비만으로 목 주위에 “지방이 많다” “혀가 크다” “턱이 작다” “편도선이 크다” “연구개가 길다”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상기 원인에 의해 잠자는 동안 혀가 내려가고 기도(공기가 지나가는 길)가 좁아지거나 막히고, 수면무호흡증 및 저 호흡 증상이 발생합니다.
성인병이 있으면 수면무호흡증에 걸리기 쉽고 비만이면 빈도는 더욱 상승합니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고혈압이 없는 사람에 비해 수면무호흡증에 걸리기 쉽고 고혈압에 비만까지 있으면 수면무호흡증이 한층 심해집니다.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신드롬이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리스크가 상승합니다.
2. 수면무호흡증 증상 및 합병증
수면 중에는 코골이, 호흡 멈춤, 자주 깨기, 야간빈뇨 등이 있으며, 기상시간의 두통, 낮의 졸음, 주위 산만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낮에 졸린 이유는 수면의 질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통상, 수면 사이클은 얕은 수면과 깊은 수면을 반복하지만, 수면무호흡증이 되면 깊은 수면이 부족하여 수면의 질이 저하됩니다.
밤에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하기 때문에 낮에 졸음이 엄습해 오게 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교통사고의 위험성도 높입니다.
수면 무호흡증후군 환자는 정상인의 약 7배나 사고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하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을 방치해 두면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키기 쉬워집니다.
호흡이 멈춤으로써 체내가 저산소 상태가 되고, 저산소 상태는 교감신경을 활성화시켜 고혈압으로 이어집니다.
게다가 저산소 상태와 교감신경이 계속 활성화되면서 산화스트레스가 쌓여, 전신 염증반응 등을 일으키게 되어 고혈압이나 뇌경색, 심근경색의 원인이 됩니다.
또 저산소 상태가 지속되면 피가 굳어지기 쉬워 혈관 내 혈전이 생기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당뇨병은 혈당치를 낮추는 호르몬인 인슐린을 배출할 수 없게 되거나 어려워짐으로써 발병하는 질병입니다.
저산소 상태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 축적과 전신 염증 반응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미세포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또한 수면의 질과 양이 저하됨으로써 식욕이 증가하여 비만이 되게 되면서, 인슐린이 더욱 잘 듣지 않게 되어 결국 당뇨병에 걸리게 됩니다.
3. 수면무호흡증 검사
3.1 간이모니터 검사
간이모니터 검사는 수면무호흡증의 가능성을 조사하는 검사입니다.
호흡 센서(코의 기류)와 손끝 센서(혈액 속 산소포화도) 2가지를 사용하여 수면 중 호흡 상태를 측정합니다.
센서를 손에 달고, 운반이 용이 하며, 피검자가 직접 장착할 수 있어 집에서 간단하게 검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검사에서 AHI(Apnea Hypopnea) Index : 무호흡·저 호흡지수)를 알 수 있습니다.
AHI란 수면 1시간당 10초 이상 지속되는 무호흡(Apnea)이나 저 호흡(Hypopnea)이 발생하는 횟수를 말합니다.
AHI가 5 이상이면, 좀 더 자세한 검사(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3.2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는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란 간이 모니터 검사보다 더 자세하게 수면과 호흡의 질을 조사하는 정밀 검사입니다.
뇌파를 포함한 많은 항목의 검사를 위해 하루 정도의 입원이 필요하며, 수면무호흡증을 최종적으로 진단하기 위해 필요한 검사입니다.
4. 수면무호흡증 진단, 중증도 및 치료
수면무호흡증 진단은 아래의 두 가지 패턴이 있습니다.
①코골이나 낮의 졸음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수면 폴리그래프 검사에서 AHI가 5 이상 있으면 진단이 됩니다.
②증상이 없는 경우는 AHI가 15 이상이면 진단을 받게 됩니다.
중증도는 5 AAHI <15는 경증, 15 AAHI <30은 중등증, 30 AAHI는 중증으로 판단합니다.
4.1 수면무호흡증 예방
이와 같이 진단이나 중증도 판정에 AHI 값이 중요합니다. 우선 중증도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에게 체중 감량과 생활습관 개선을 해야 합니다.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을 통해 반년~1년 사이에 BMI가 감소하고 AHI가 평균 6 정도 감소될 수 있습니다.
음주와 흡연은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알코올은 근육의 긴장을 이완하는 작용이 있어 공기가 지나가는 길을 지탱하는 근육도 이완시켜 버리기 때문에, 폐색 되기 쉬워집니다.
특히 잠자리에 들기 전에 술을 마시는 것을 삼가도록 합시다.
또한 흡연은 공기가 통하는 길에 염증을 일으키게 되어 폐색 될 수 있습니다. 금연에 힘써 생활 습관을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4.2 수면무호흡증 치료
CPAP이란 지속 양압호흡요법으로 수면 중 코 또는, 코와 입에 마스크를 장착하여 공기 통로에 압력을 가하여 공기 통로가 닫히지 않도록 넓히는 치료 요법을 말합니다.
CPAP 기계는 얼굴에 장착할 마스크와 공기를 내보내는 기계로 구성됩니다.
마스크는 코만 가리는 ‘코마스크’와 코와 입을 모두 가리는 ‘풀페이스마스크’가 있습니다.
기계도 다양한 특징이 있고 그 조합은 다양하므로, 검사 기관에서 추천받아도 되고, 자신에게 맞는 CPAP를 찾아서 사용하면 좋습니다.
마우스피스는 AHI가 5~20인 환자로 자각증상이 있는 환자가 적용하게 됩니다.
또한 AHI2020 환자에서 CPAP을 계속하기 어려운 환자에 대한해도 마우스피스가 적용됩니다.
마우스피스는 아래턱을 장치로 전방으로 움직여 고정하는 장치입니다.
아래턱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혀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여 공기가 통하는 길이 생깁니다.
마우스피스를 취침 시에 장착함으로써 공기가 통하는 길이 확보되어 수면무호흡증을 방지합니다.
5. 결론 및 요약
선천적인 문제로 비정상적인 기도나 구강구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외과적 수술로 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규칙적인 생활과 운동에 유의하고, 술이나 담배를 삼가기, 특히 과음하지 말기, 평소 입호흡이 아닌 코호흡을 의식하고 옆으로 누워서 자는 것이 수면무호흡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같이보면 유용한 정보